정보보안과정(38)
-
마운트관리 / LVM관리
190906 마운트 관련 명령어들 mount CMD # mount [-t ext3] [-o OPTIONS] /dve/sdb1 /testmount [-t ext3] : ext2, ext3, ext4, xfs [-o OPTIONS] : defaults(rw, suid, nouser, ...) [EX] ro OPTIONS [EX] noatime OPTIONS(성능 : Caching 공간) atime -> 접근시간 확인 -> ls -lu # mount /dev/sdb1 /testmount -> /dev/sdb1 장치를 /testmount 빈 디렉토리에 마운트 시킨다. -> 장치를 빈 디렉토리(마운트포인터)에 올려서 빈디렉토리를 장치처럼 사용할 수 있는것 ex) USB [EX] usrquota/grpquota q..
2019.09.06 -
2장 장치 관리
190905 SSD -> 성능 r(read) 다른디스크에 비해 약 10배 빠름 w(write) 다른디스크에 비해 약 1.5~2배 빠름 발열↓(돌리는방식이 아닌 찍어내는 방식), 소음↓, 전력↓ 디스크 끝쪽 헤더 -> 데이터 읽어들이는 부분 섹터 -> 가장 작은단위 트랙 -> 섹터들의 모임 실린더 -> 여러개의 플래터들에 같은위치에 포함된 트랙묶음 디스크 구조 sector -> track -> cylinder -> partition -> disk 디스크 이름 체계 IDE) /dev/hda(harddisk drive), /dev/hdb, /dev/hdc, /dev/hdd SCSI) /dev/sda, /dev/sdb, /dev/sdc, /dev/sdd, .... (디스크 장치인식 작업) # chkconfig ..
2019.09.05 -
1장 디렉토리 구조 / 장치 관리
리눅스 관리자 과정 Linux Server Administration 과정 정리 ======================= Chapter 01. 디렉터리 구조 ======================= man 7 hier -> /(최상위 디렉토리)에 뭐가 있는지 다 설명해줌 backup/ data3/ lib/ net/ selinux/ usr/ bin/ data4/ lost+found/ opt/ srv/ var/ boot/ dev/ media/ proc/ sys/ data1/ etc/ misc/ root/ test/ data2/ home/ mnt/ sbin/ tmp/ [실무예] OS 종류 : cat /etc/redhat-release 커널 버전 : uname -a CPU : cat /proc/cpuinfo..
2019.09.04 -
15장 원격접속과 파일접속
190904 nice/renice nice -> 우선순위 주기 man nice -> nice의 메뉴얼 페이지 보기 (manual) nice -(-20 ~ 19) -20에서 19까지 줄 수 있음 [실무예] 백업스크립트/데이터 수집 스크립트 실행 시 고려사항 # nice -10 /root/bin/backup.sh & -> 숫자를 (10[-뒤가 실제 숫자 --10이면 -10임])으로 크게해서 우선순위를 낮춤 # renice 10 PID [실무예] CPU 부하량 주는 프로그램 확인시 고려사항 # top # renice 10 PID 15장 원격접속과 파일접속 yum -y install wireshark wireshark-gnome sCMD(ssh, sftp, scp) scp CMD # scp file1 192.1..
2019.09.04 -
14장 프로세스 관리
190903 엘리어스 (Alias) # alias cp ='cp -i' # alias # unalias cp /* 다른 위치에 명령어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alias */ # alias vi='/usr/bin/vim' /* 새로 만들어서 사용하는 alias */ # alias pps='ps -ef | head -1 ; ps -ef | $1' 기존 내장명령어와 alias함수의 이름이 동일하다면 alias가 실행된다(alias가 우선순위) 환경파일(Environment Files) -> 지속력을 가짐, 영구설정 - /etc/profile - $HOME/.bash_profile ($HOME/.bash_login, $HOME/.profile) // 위 두개는 로그인시 한번만 실행 - $HOME/.bashrc..
2019.09.03 -
쉘특성
190902 파이프 (/pipe) # CMD | more # CMD | Ggrep xinetd # CMD | CMD | CMD cal -> 달력출력 리다이렉션(>) -> 모니터에 출력될 내용을 파일에 저장 ex) cal > file.log 파일에도 출력하고, 모니터에도 출력하고 싶을 때 ** -> cal | tee file.log tee -a(append[추가하다]) (-a : >> file.log) service httpd restart -> 웹데몬 동작 [참고] CMD | tee file.log # while true do CMD | tee -a file.lgo sleep 2 done # script -a /dev/null | tee /dev/pts/1(장치파일이름) | tee /dev/pts/2 -..
2019.09.02