보안(5)
-
PKI란?
PKI란 비대칭키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만들어진 보안 인프라. 비대칭키 알고리즘을 이용하면 절대 뚫을 수 없는 안전한 통신 채널을 만들 수 있다. 여기에 왜 굳이 더 복잡한 PKI라는 개념이 도입된 걸까? PKI가 없더라도 안전하고 기밀성이 보장된 통신채널 자체는 충분히 만들 수 있다. 하지만 문제가 되는 건 송신자와 수신자 사이에 해커가 개입하여 중간자 공격을 자행하는 등 무결성 손상을 입게 되는 경우다. 그럼 PKI가 어떤 원리로 무결성을 보장하는 것인지만 이해한다면 PKI을 온전히 이해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. 무결성을 보장하기 위한 핵심 : 지금 통신하고자 하는 상대방이 신뢰할 수 있는 대상이라고 확신을 얻는 것 네이버 서버의 비밀키가 있음, -> 여기에 대응되는 공개키도 있을 것. -> 구글 서버..
2020.11.23 -
크립토 재킹 - 내 컴퓨터가 코인 채굴용으로 납치된다
크립토 재킹이란 암호 화폐를 뜻하는 크립토(Crypto)와 납치라는 뜻의 하이재킹(jacking)의 합성어로, 해커가 사용자 컴퓨터에 악성코드를 심어 CPU나 GPU 등의 자원을 가상화폐 채굴에 사용하는 것을 말한다. 요약 : 악성코드가 심어진 PC의 CPU가 암호화폐 채굴에 도용됨
2019.09.11 -
크리덴셜 스터핑(Credential Stuffing)
크리덴셜 스터핑이란? 로그인 계정, 비밀번호, 이메일, 기타 개인정보 등 사용자 본인 인증을 위한 정보를 폭넓게 아울러 ‘크리덴셜(Credential)’ 이라고 하는데요. 사용자의 로그인 정보 등, 개인 신상을 암호화 한 정보. 공격자가 이미 확보한 사용자의 인증정보를 다른 인증시스템(계정)에 마구 대입(Stuffing) 하는 과정 공격자가 아이디 비밀번호를 확보했고 이것으로 다른서버에 로그인을 시도해보는 공격
2019.09.11 -
ARP Redirect 공격
ARP Redirect 공격은 공격자가 피해자들에게 자신이 라우터라고 속여서 피해자들의 패킷이 자신에게 한번 거친 후 라우터로 가도록하는 공격이다. 이 과정에서 공격자는 네트워크에 있는 호스트가(피해자) 어떤 패킷을 라우터를 통과해 외부로 보내 통신하려 하는지 감시와 분석을 할 수 있다.
2019.09.10 -
Diffie Hellman
최초의 공개키 알고리즘, 키 분배 전용 알고리즘 이산대수 문제에 근거
2019.01.26