2019. 9. 9. 22:23ㆍ정보보안과정/리눅스 서버 관리자
190909
==========================
Chapter 03. LVM 관리
===========================
LVM 관련 용어
PV[Physical volume](물리적인 디스크)(PE)
VG[volume group](가상적인 큰 디스크) [pv의 그룹]
LV[Logical volume](LE)(가상적인 파티션)[원하는만큼, 쓸만큼 쪼개논 것]
PE <-> LE : 매핑하는 단위(4M), 따라서 크기가 같아야 함!
vgcreate vg1 /dev /dev /dev -s 16M /* -s : PE Size - 16M */
LVM 작업절차
(ㄱ) 파티션 작업(fdisk CMD, Partition ID : 8e)
(ㄴ) PV생성
(ㄷ) VG생성
(ㄹ) LV생성
(ㅁ) FS생성
(ㅂ) 마운트 작업 (mount CMD, e/tc/fstab)
01. PV(Physical Volume)
(주의) Partition ID : 8e
PV가 될 수 있는 조건 -> 디스크, 파티션
pvcreate CMD
# pvcreate /dev/sda1
# pvcreate /dev/sd[abc]1
pvremove CMD
# pvremove /dev/sda1
# pvremove /dev/sd[abc]1
pvs/pvdisplay CMD
# pvs
# pvdisplay [/dev/sda1]
02. VG(Volume Group)
(주의) VG 안의 단위는 PV
# pvs
vgcreate CMD
# vgcreate vg1 /dev/sd[abc]1
# vgcreate vg1 /dev/sd[abc]1 -s 16 /* -s PEsize */
vgremove CMD
# vgremove /dev/vg1
# vgremove /vg1
lvcreate -l 5 -n lv1 vg1 /* -l 5 : LE/PE 개수 단위 */
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
03. LV(Logical Volume)
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
** vg에 있어야 lv가 생성이 가능함!!! **
lvcreate CMD
# lvcreate -L 1G -n lv1 vg1
# lvcreate -l 100%FREE[string형식] -n lv1 vg1
# lvcreate -L 1G -i 3 -n lv1 vg1
# lvcreate -L 1G -m 1 -n lv1 vg1
lvremove CMD
# lvremove /dev/vg1/lv1
lvextend CMD
# lvextend -L +1G|2G -n lv1 vg1
# lvextend -l (+)100%FREE(남아있는거 전부 다 할당해라) -n lv1 vg1
lvreduce CMD
# lvreduce -L -1G|2G -n lv1 vg1
lvs/lvdisplay CMD
# lvs
# lvdisplay [/dev/vg1/lv1]
pv를 lv로 변환시키는 기술의 목적 -> 물리적인 볼륨을 논리적인 볼륨체계로 전환시키는 것
-> 논리적인 볼륨체계는 관리적은 효율을 볼 수 있음!!!!
-> 나중에 관리할 때 훨씬 더 이득임, 아주 편하게 쓸 수 있음
/etc/fstab -> 부팅시에도 마운트 될 수 있도록 설정
fdisk/dev/sdc -> 파티션 만들기
mkfs.ext3 /dev/sdc1 -> 파일시스템 만들기
vi /etc/fstab; mkdir /oracle; mount /oracle -> 마운트 작업
슈퍼블록 -> 파일시스템에 대한 전반적인 내용
**********
dd if=/dev/zero of/liv/file3 bs=1M count=500
-> 내용이 zero인 500M 파일 만들기
**********
e2fsck -f /dev/vg1/lv1 -> 이상이 없어도 f(강제적으로) 점검
lv 레벨단의 용량 증가 -> 파일시스템 레벨단의 용량증가
반대로 줄일 때 : 파일시스템 레벨단의 용량 감소 시킨 후, lv 레벨단 용량 감소
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
어떤옵션을 쓸지 모를 때 -> pvcreate --help
man pvcreate
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
fdisk -l | grep LVM -> PV가 될 수 있는지 확인
Chapter 04. RAID 관리
스토리지 종류
* DAS (Direct Attached Storagee)
- Internal DAS (EX: 내장디스크)
- External DAS (EX: 외장디스크)
* NAS (Network Attached Storage) (EX: 가정용 NAS)
* SAN (Storage Area Network) (실무에서 많이사용(고가))
RAID 종류
* H/W RAID
* S/W RAID
RAID 종류
* RAID 0 (concatenate, stripe)
* RAID 1 (mirror)
* RAID 5 (distributed stripe data with parity)
* RAID 6 (parity X 2)
* RAID 7 (parity controlled system(ROS))
'정보보안과정 > 리눅스 서버 관리자' 카테고리의 다른 글
SoftWare 관리 (0) | 2019.09.11 |
---|---|
RAID관리 / SWAP관리 (0) | 2019.09.10 |
마운트관리 / LVM관리 (0) | 2019.09.06 |
2장 장치 관리 (0) | 2019.09.05 |
1장 디렉토리 구조 / 장치 관리 (0) | 2019.09.04 |